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미국] 27년 경력의 교사, ChatGPT를 수업에 도입한 이유

  • 2024.11.30
[원문제목]I've been a teacher for 27 years. When ChatGPT first came out, I was terrified; now, I let my students use it to write essays.
[자료출처]Business Insider (2024.11.14.)
[https://www.businessinsider.com/teacher-ai-chatgpt-classroom-cheating-essays-2024-11?utm_source=chatgpt.com]
[주제분류]중등교육, 인공지능 활용 교육, 교수법 개발
[키워드]ChatGPT, AI, 글쓰기 교육, 비판적 사고

[그림 출처: 원문 자료]

  • Kelly Gibson은 27년 경력의 교사로, 현재 오리건의 한 작은 시골 고등학교에서 일하고 있음. 그녀는 ChatGPT를 수업에 도입한 경험을 이야기하며, 앞으로 점점 더 많은 교육자들이 AI를 교수법에 적용할 것이라고 전함
  • 2년 전, 추수감사절 휴가 중에 Gibson의 예전 학생들이 ChatGPT를 소개해주며, 부정행위에 사용될 수 있는 위험성을 알림. Gibson은 학생들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ChatGPT가 보고서를 완성할 수 있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느낌
  • Gibson은 ChatGPT 사용법을 배우기 시작했고, ChatGPT가 학생들의 비판적인 사고를 강화하면서 글쓰기를 도울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을 발견함. 이에 학생들이 AI로 부정행위를 하지 못하게 막는 것보다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방법을 찾기로 결심함

교실에서의 AI 활용

  • Gibson은 ChatGPT를 활용해 수업을 계획하고 워크시트를 생성하면서 유용함을 더 느끼게 됨. 학생들에게 AI를 학습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싶었고, 2023년 1월부터 12학년 수업에서 ChatGPT를 도입함
  • 학생들의 첫 번째 과제는 ChatGPT에게 글의 도입 문장만 주고 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한 후, 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임. 학생들은 AI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며 비판적 사고를 발전시킴

학생과 AI의 공존

  • Gibson은 학생들에게 AI를 사용한 부정행위를 단속하지 않을 것을 알렸고, 학생 스스로 AI 도구가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도록 지도함
  •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AI를 사용한 후, 다시 직접 연구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과제를 줌. 그녀는 AI가 긴 글쓰기 과제의 부담을 줄여주지만, 일부 학생들이 AI를 전적으로 의존하여 수정조차 하지 않는다는 것을 문제점을 발견함
  • Gibson은 학생들이 AI 도구를 사용하여 과제를 수행했을 때, 해당 학생들과 직접 대화를 시도하여 자신의 과제를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라고 제안함. 자신의 과제를 심도 있게 설명하지 못한 학생들은 다시 과제를 수행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추천함

미래의 AI 교육 방향

  • Gibson은 자신의 교육 방법에 대해 학부모로부터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적이 없다고 전함. AI 도구를 교실에서 활용하는 방법이 교사마다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며, 자신의 교육 신념에 가장 적합한 규칙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임
  • 교실에 AI 도구를 도입하는 것은 맞춤법 검사기, SparkNotes와 같은 도구가 처음 생겼을 때와 비슷하다고 설명함. 초기에는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이러한 도구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우리가 잘 알고 있다는 점을 강조함
  • Gibson은 몇 년 후에 AI 도구가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 알 수 없고, 비판적 사고를 방해하는 도구로 전락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전함. 그러나 AI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더 나은 작가가 되고, 비판적 사고를 발전시키며, AI에 의존하지 않는 학습자가 되도록 돕는 것이 교사들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확신함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