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호주] AI가 이끄는 미래 기술 교육의 긍정적 변화

  • 2024.11.15
[원문제목]How AI is helping young Australians drive positive change
[자료출처]The Educator (2024.10.14.)
[https://www.theeducatoronline.com/k12/news/how-ai-is-helping-young-australians-drive-positivechange/ 285809]
[주제분류]교육 정책 및 행정, 학교 운영, 인공지능 활용 교육
[키워드]STEM, 기술 인력 부족, AI의 중요성

[그림 출처 : 원문자료]

  • 호주의 기술 인재 부족 문제가 점차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2030년까지 120만 개의 기술직과 2050년까지 엔지니어링 및 건설 분야에 약 200만 명의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STEM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어, 이 부문의 인력 부족 문제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임
  •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호주 정부는 2016년부터 2026년까지 ‘국가 STEM 학교 교육 전략’을 도입하여 학교들이 STEM 교육을 강화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나 아직 큰 효과는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임
  • 다행히도 호주 내 여러 기관과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기술과 AI의 중요성을 알리고 관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청소년을 위한 AI 프로젝트 : Crazy Good Tech Challenge

  • ‘Crazy Good Tech Challenge’는 IBM과 Crazy Ideas College(CIC)가 협력하여 진행한 행사로 서호주, 퀸즐랜드, ACT, 빅토리아 등지의 약 1,300명 학생들이 참여함
  • 7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학생들이 ‘첨단 기술과 AI 시대의 학습’, ‘사이버 안전 및 스마트 시민’, ‘기술 사용자로서의 건강한 습관’, ‘자기계발을 위한 기술 활용’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다양한 워크숍과 디자인 스프린트를 통해 다음과 같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함
    • PosiBot(Ashdale Secondary College, WA): 온라인 게시물을 모니터링하여 건전한 의사소통을 권장함. 긍정적인 게시물에 대해 점수를 주고, 부정적인 게시물에 대해서는 경고하여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함
    • International Touch Grass Day(Ryan Catholic College, QLD): 하루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고 야외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장하는 프로그램으로, 대면 상호 작용을 늘리는 것을 장려함
    • Botman(Ashdale Secondary College, WA): 베트맨을 모델로 한 인공지능 피규어로, 사이버 보안 지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잘못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줌
    • JOB-BOT(Ashdale Secondary College, WA): 사용자의 성격을 분석해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프로그램으로,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탐색하고 실업률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

교육 현장에서 AI와 교육자의 역할

  • AI와 신기술의 발전으로 학생들의 미래 직업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도 변화하고, 이에 학교들은 최신 기술에 발맞추어 교육을 혁신하고 있음
  • IBM의 Kate Tollenaar는 AI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서 창의력과 아이디어 발상을 돕는 강력한 도구임을 강조함
  • AI는 엔지니어링과 디자인 분야에서 환경을 시뮬레이션하거나 결과를 예측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아이디어를 테스트 할 수 있게 하며, 학생 개개인의 학습 스타일에 맞춘 맞춤형 학습을 제공해 효과적인 미래 준비를 도울 수 있음
  • 학교장들은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해 AI를 교육에 적절히 활용하고, 학생들이 AI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만들어보는 프로젝트와 코딩,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의 과정에 참여하도록 장려할 수도 있음
  • 또한, Crazy Ideas College의 공동 디렉터인 Zoe Burrows는 AI와 같은 신기술이 교실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될수록 학생들이 이를 긍정적인 도구로 인식하도록 돕는 기술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함
  •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 해결을 통해 기술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AI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배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이에 따라, 학생들은 기술을 창의적이고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임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