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핀란드] 핀란드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위한 전자도서관 E-library
- 2024.08.31
[원문제목] | Soon-to-open E-library is a pioneer in the international library sector |
---|---|
[자료출처] | National Library of Finland [https://www.kansalliskirjasto.fi/en/news/soon-open-e-library-pioneer-international-library-sector https://www.kansalliskirjasto.fi/en/e-library] |
[주제분류] | 도서관 교육, 디지털 교육, 평생 교육 |
[키워드] | 전자도서관, 독서, 전자책,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접근성, 평생교육, 디지털 콘텐츠 |
핀란드 국립도서관 전자도서관 개요
- E-library은 거주 지역의 공공 도서관 인프라와 관계없이 최대한 많은 핀란드 주민들에게 양질의 동일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
- 이를 위해 총 309개의 핀란드 지방자치단체 중 221개 지자체가 E-library에 가입했으며, 이는 핀란드 거주민의 85%에 해당하는 470만 명이 전자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 2025년에는 국민의 97%가 이용가능할 예정임
- 협약을 맺은 지자체 주민들은 언제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나, 협약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사하거나 해외로 이주할 경우 전자도서관 어플을 더이상 이용할 수 없음
- 예산은 핀란드어 전자책과 오디오북 3개 카테고리(문학, 논픽션, 아동 및 청소년 문학), 스웨덴어,영어 및 기타 언어, 디지털 저널을 포함한 총 6개의 그룹에 할당되며, 각 6개 그룹 심사위원들이 구입 자료를 선정함
- E-library은 거주 지역의 공공 도서관 인프라와 관계없이 최대한 많은 핀란드 주민들에게 양질의 동일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
이용방법
- 어플 설치: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App Store와 Google Play에서 전자도서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야만 E-library에 접속할 수 있음. 여러 기기에서 동시 접속이 가능하여 태블릿에서 전자책과 전자잡지를 대출하고 휴대전화에서는 동시에 오디오북을 구독할 수 있음
- 지원 기기: 전자도서관 이용자 대부분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전자책과 오디오북에 접속한다는 통계에 따라 최초 출시 서비스는 휴대폰이나 태블릿을 통한 모바일 앱을 설치한 경우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함. iOS 16 이상을 실행하는 Apple 기기 및 최소 Android 8 운영 체제 이상에서 작동하며, Android 13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Lenovo 태블릿 및 Xiaomi 태블릿 등의 일부 태블릿에서는 작동하지 않음
- 브라우저 지원: 현재는 컴퓨터 브라우저로는 접속이 불가능하고, 2025년까지 브라우저 버전을 출시한다는 목표로 개발 중에 있음
- 인증: 이용자는 도서관 카드 대신 온라인 뱅킹 정보나 모바일 인증서를 통해서만 로그인할 수 있음. 서비스에 가입한 지자체 거주자만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인증 절차를 통해 거주 지자체를 확인하고, 이용자의 이름, 주소, 개인 신원 번호 및 부양 가족 세부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집함
- 보안: 매우 많은 수의 핀란드 주민이 단일 어플을 사용해 서비스를 이용하며 민감한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매우 엄격한 보안을 적용
- 대출: 한 번에 총 5권의 책 대출 가능. 전자책과 오디오북은 2주 동안 대출가능하며, 온라인 잡지의 경우 한번에 2시간 동안 대출해 읽을 수 있음. 대여한 전자책과 오디오북은 자동으로 기기에 다운로드되어 2주간 인터넷 연결 없이도 이용가능하며, 2주가 지나면 자동 삭제됨. 잡지는 인터넷 연결 환경에서만 이용이 가능함
- 반납: 대출 기간이 끝나면 자동으로 반납되어 반납이나 연체에 대한 걱정이 없으며, 알림기능은 제공하지 않음
- 자료: 현재는 핀란드어, 스웨덴어, 영어로 된 전자책, 오디오북, 60종의 디지털 신문 및 잡지를 제공. 핀란드어가 가장 많으며, 일부 다른 언어 자료도 보유. 로그인하지 않아도 자료 검색은 가능
기대 효과
- 디지털 접근성 향상: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도서 접근 제공, 물리적 제약 없이 광범위한 자료 이용 가능. 이동이 어려운 사회적 약자들도 자유롭게 접근 가능
- 국제적 도서관 부문의 선구자 역할: 도서관의 수요에 의해 논의되기 시작하고 지자체간 공유 서비스인 E-library를 통해 혁신적인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 모델 제시
- 독서 문화 촉진: 디지털 세대를 포함한 새로운 독자층 유입 유도 및 확보.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독서 습관 장려. 시공간 제약 없는 평생 교육 제공 가능
- 이용자 편의성 증대: 다양한 기기를 통한 접근으로 이용 편의성 제고, 빠른 검색 및 즉시 이용 가능한 시스템 구축, 여러 이용자의 동시 접근 가능
- 환경 친화적 서비스: 종이 사용 감소로 환경 보호에 기여, 물리적 운송 필요성 감소로 탄소 배출 저감
-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빠르고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가능
- 다양한 서비스 추가 적용 용이: 추후 논문,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디지털 포맷의 콘텐츠 추가가 가능하며, 개인화된 추천 도서 및 맞춤 서비스 제공 가능
한계와 논의들
- 저작권 및 라이선스 문제: 일부 출판사와 저자들이 전자도서관에 도서 판매를 꺼리는 상황이 발생해 오픈 당시 출판사들과의 협상 난항을 겪기도 했으며, 신간 디지털 도서 확보에 어려움 발생하기도 함
- 콘텐츠 가용성 제한: 양질의 콘텐츠를 구입해야 하는 도서관과 돈 되는 책을 팔고 싶은 출판사 간의 의견 차이 존재
- 콘텐츠 제약: 예산과 출판사와의 계약 문제로 독자들이 원하는 책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발생. 라이선스 계약은 1권 당 계약인데 예산 문제로 도서관이 한 권당 보유한 라이선스는 제한되어 있어 특정 도서는 경쟁률이 높을 수 있음
- 디지털 약들: 디지털 리터러시가 낮은 이용자들의 접근성 문제, 전통적인 도서 이용 방식에 익숙한 이용자들의 적응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