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핀란드] 핀란드,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초를 말하다
- 2024.10.31
[원문제목] | Where media literacy is fundamental |
---|---|
[자료출처] | Tes (2024.10.03.) [https://news-decoder.com/where-media-literacy-is-fundamental/] |
[주제분류] | 초등교육, 교재 개발 |
[키워드] | 미디어 리터러시, 허위 정보, 언론 |
[그림출처: 원문자료]
- 러시아는 거의 모든 휴대용 미디어를 금지 및 차단하고, 유해물로 지정함. 반면, 핀란드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기본 독해 다음으로 중요한 리터러시 기술로 여겨짐
- News Media Finland의 사장인 Jukka Holmberg는 차세대가 정치적으로 편향된 정보를 분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함
- ‘미디어 리터러시 ABC 책(ABC Book of Media Literacy)’이라는 정보책으로 알파벳의 각 글자를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에 연결하여 만들어짐
- 뉴스 디코더 사용자 경험 관리자, Sabīne Bērziņa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는 ‘책임감 있고 비판적인 방식으로 미디어를 소비하고 분석하고 창작하는 능력’이라고 함
- Bērziņa는 정보의 사실 유무, 출처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무엇인가를 만들거나 공유할 때의 모든 행동이 정보 공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전함
- 어떤 형태로든지 콘텐츠에 참여할 때, 자신이 재미있다는 이유만으로 충동적으로 하지 말고 사려 깊고 비판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함
허위정보가 있는 곳
- 잘못된 정보는 불쾌하고 음모론으로 가득 찬 정보 공간은 물론, 모든 소셜 미디어에서 흔히 발견됨
- 미디어 리터러시 비율이 높은 곳에서는 사람들이 저널리즘의 출처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음. 미국인은 34%만이 미디어를 신뢰하는 반면, 핀란드의 시민은 76%가 신뢰함
허위 정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다
- Holmberg는 핀란드의 미디어 리터러시 성공을 인정하지만, 이를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자 지속적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함
- 핀란드에서의 건전한 회의주의와 윤리적인 기사에 대한 감사는 허위정보가 지정학적 차원을 지닌 곳에서 국제적 안보를 보호하는 한 겹의 방편임
정보전에서 세력을 집결하다
- News Decoder는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저널리즘의 역할을 연결하기 위해 캠페인과 웹 세미나를 직접 주최함. 하지만, 단일 요소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므로 소수가 아닌 사회 전체를 위한 체계적인 솔루션을 향해 노력하고 있음
- 언론은 사회의 잠재적 문제나 학대를 보도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 독립적이고 자유로워야 함. 따라서 언론의 자유를 억압할 수 없기에 교실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가르치는 작은 책이 큰 의미가 됨
- 즉, 어린이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중요성과 언론의 역할을 가르치는 방법이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