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미국] 초등학교에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가르치는 핵심

  • 2024.11.15
[원문제목]Keys to teaching data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자료출처]K-12DIVE (2024.10.23.)
[https://www.k12dive.com/news/teaching-data-literacy-elementary-school/730724/]
[주제분류]초등교육, 자연과학 교육, 데이터 교육
[키워드]데이터, 데이터 활용 수업, 데이터 리터러시

[그림출처: 원문자료]

  • 수학 커리큘럼 전문가들은 어린이들이 데이터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 인식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이미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데이터 활용 수업을 접목하는 것이 의외로 간단하다고 봄
  • 전국 수학 교사 협의회 회장인 Latrenda Knighten은 사람들은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을 배운다고 생각하지만, 학생들은 매일매일 일상생활 속에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배우고 있다고 전함
  • 유치원생의 경우, 날씨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날씨 그래프를 만드는 것은 간단한 활동으로 볼 수 있음. 예를 들어, 오늘 날씨가 맑은지 아니면 흐린지를 관찰한 다음에 날이 더 맑을지 비가 올 지를 분석해 볼 수 있음
  • 루이지애나주 East Baton Rouge Parish 공립학교의 전직 교사이자 초등 교육 코치인 Knighten은 “교육자들이 원하는 것은 어린이들이 데이터 리터리시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진정한 경험을 하는 것”이라고 말함
  • 학생들은 집에서 자신의 가족을 대상으로 가장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해봄으로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음. 그런 다음, 수집된 데이터와 그 결과에 대해 수업시간에 친구들과 공유하고 서로 질문을 함으로써, 단순히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에도 참여하게 됨
  • 수학 교사 교육자 협회장 Enrique Galindo는 아이의 세상에 대한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시작점이라고 말함. 교육자는 학생들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질문을 만들거나 설문 조사를 설계해볼 기회를 열어둘 수 있음
  • “그런 다음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하고,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지, 데이터를 어떻게 조직화하고, 분석할 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고 말함
  • Knighten은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는 어떤 이야기나 TV에서 들을 수 있는 데이터를 읽고 해석하는 데 약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함. 또한, “우리는 데이터 기반의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런 데이터 관련 경험을 많이 할수록 미래에 중요한 결정을 할 때 우리에게 힘이 될 수 있습니다”라고 덧붙임
  • Galindo는 학생들이 데이터 활용 능력에 능숙해지도록 돕는 것이 그들이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함. 투표소나 상점에서 어떤 결정을 할 때, 데이터가 충분하다면 더 나은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고 함
  • “사회 모든 분야의 많은 직업들이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는 임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오늘날의 세상에 준비되기 위해서는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과학에 능숙해야 한다”고 말함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