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미국] 2024 EDUCAUSE Horizon 보고서: 교수학습 편

  • 2024.11.30
[원문제목]2024 EDUCAUSE Horizon Report: Teaching and Learning Edition
[자료출처]EDUCAUSE (2024.5.13.)
[https://library.educause.edu/resources/2024/5/2024-educause-horizon-report-teaching-and-learning-edition]
[주제분류]고등교육, 인공지능(AI) 활용 교육
[키워드]에듀테크, 인공지능, 데이터 프라이버시, 지속 가능성

[그림 출처: 원문 자료]

  • EDUCAUSE의 2024 Horizon 보고서는 고등교육에서 교수학습의 미래를 형성하는 주요 트렌드, 기술,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음.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고등교육 기관은 기술을 중심으로 재구성되었다는 특징이 있음
  • 교육 정책, 환경,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구사항, 기술적 발전 등 다섯 가지 주요 범주에서 나타나는 트렌드를 제시하면서, 특히 인공지능을 ‘명예 카테고리(honorary trend)’로 추가하여, AI가 고등교육 분야에 가져올 심대한 변화를 분석하였음

트렌드

  • 사회적 트렌드
    • 고등교육의 가치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 고등교육이 제공하는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약화하고 있음. 이는 학비 상승, 학자금 대출(부채) 문제, 학위의 노동 시장 연결성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음. 학생 등록률 감소와 재정적 압박은 교육 기관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으며, 투입 비용 대비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할 새로운 교육 모델 개발이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냄
    • 학생 인구의 다양화: 점점 더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고등교육에 진입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교육 방식과 지원 서비스에 도전이 되고 있음. 특히 성인 학습자, 유학생, 비전통적 학생의 증가로 인해 유연한 학습 환경, 혼합형 학습 모델, 대안적 성격의 학위(예컨대, 마이크로크레덴셜 등)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으로 보임
    • 하이브리드 학습에 대한 요구 증가: 팬데믹 동안 급격하게 확산한 하이브리드 학습은 학생들에게 유연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 경험의 개인화와 기술 활용도를 제고하였음.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교육의 품질 유지와 디지털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는 데 있어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내기도 함
  • 기술적 트렌드
    •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 증가: 고등교육기관이 디지털 기술에 점점 더 의존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 위협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가 부각되고 있음. 이는 데이터 침해 방지, 윤리적 데이터 사용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기술 투자와 보안 인프라 강화를 동반해야 함
    • 학습 분석의 활용 증가: 학습 분석은 학생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과를 향상시키는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 그러나 데이터 분석 기술의 오용과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와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 디지털 격차 지속: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저소득층 및 농촌 지역 학생들은 여전히 기술 격차에 직면해 있음. 이러한 격차는 학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리터러시와 접근성 확대가 필요함
  • 경제적 트렌드
    • 노동시장 중심 기술 학습의 수요 증가: 자동화와 디지털화가 노동 시장을 변화하게 만들면서, 실질적(현장 중심) 직무 기술 중심의 학습 모델이 강조되고 있음. 특히, 마이크로디그리(크레덴셜), 단기 인증 프로그램 등이 고용 가능성(즉, 취업률)을 제고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음
    • 학생 부채와 등록 결정: 학자금 대출 문제는 학생 등록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로 인해 일부 대학은 ‘무대출(no-loan)’ 정책을 도입하거나, 비용 대비 상대적으로 더 효율적(cost-efficient)이라고 할 수 있음.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 환경적 트렌드
    • 지속 가능한 캠퍼스 구축 노력 강화: 환경 지속 가능성은 고등교육 기관의 주요 목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친환경 건축 자재 도입, 탄소 배출 감소 등이 갈수록 중요해짐
    • 빅데이터와 AI의 환경적 영향: 데이터센터와 AI 기술이 소비하는 에너지양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데이터 활용 및 기술 개발 전략이 필요함
  • 정치적 트렌드
    • 정치적 양극화와 신기술 정책의 필요성: 정치적 양극화가 고등교육 자금 지원과 정책에 영향을 미침. 이는 기관 안정성과 다양성 확보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음. 동시에 AI 같은 신기술 확산으로 윤리적 사용과 데이터 관리에 대한 정책 개발 필요성 증가하였음. 고등교육 기관은 변화하는 정치 환경과 기술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규제 및 정책 프레임워크가 필요함
  • 명예 트렌드: 인공지능(AI)
    • AI의 교육 혁신과 경제·환경적 영향: AI는 학습 경험을 맞춤화하고, 학습 분석을 통해 학업 성과를 개선하며, 교수법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동시에 노동 시장의 패턴을 변화시키며,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 이러한 경향 속에서 교육과 산업 전반에 걸쳐 AI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으며,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음

미래 시나리오

  • EDUCAUSE는 교수 및 학습의 미래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함
    • 성장: AI가 노동 시장을 혁신하며 유연한 학습 모델 확산
    • 제약: 사이버 범죄 증가로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 강화 필요성 증가
    • 붕괴: 정치적 분열로 인해 고등교육 기관의 운영 어려움 심화
    • 변화: 맞춤형 학습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 모델 강화

결론

  • 2024 EDUCAUSE Horizon 보고서는 고등교육의 미래가 기술과 데이터에 의해 크게 형성될 것임을 보여주며, 학습 분석, AI 활용, 지속 가능성, 데이터 보호 등의 분야에서 기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 그뿐만 아니라 본 보고서는 교육 기관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전략을 수립하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유용성이 있음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