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르완다] 2,000개 이상의 르완다 학교를 인터넷으로 연결
- 2024.10.31
[원문제목] | Over 2,000 Rwandan schools connected to Internet |
---|---|
[자료출처] | NewTimes (2024.11.08.) [https://www.newtimes.co.rw/article/20878/news/education/over-2000-rwandan-schoolsconnected-to-internet] |
[주제분류] | 학교 운영, 스마트 기기 |
[키워드] | 인터넷, AI, 스마트 교실, 연결성, 접근성 |
기술자들이 50개 학교 중 한 곳에 Starlink 인터넷을 설치하는 모습 [그림출처: 원문자료]
- 르완다의 교육부 장관인 Joseph Nsengiyumva는 정부의 모든 학교를 연결하려는 계획에 따라 공립 및 정부 지원 학교 3,653개 중 2,230개의 학교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고 밝힘
- The New Times X-Space에서 르완다가 AI에 정통한 세대를 교육하는 방법에 대해 연설한 Nsengiyumva는 “12월까지 대부분의 학교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기를 바랍니다. 또한, 디지털 도구를 통해 커리큘럼을 확장하기 위해 스마트 교실을 도입했습니다”라고 말함
- 12월까지 인터넷 보급을 완료한다는 목표가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교육부 장관은 연말까지 가능한 많은 학교를 연결할 수 있도록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힘
- 학교에서 인터넷이 완전히 보급되지 않았을 때의 해결 방법을 설명했는데, 전기가 없는 학교의 경우, 전기를 먼저 공급한 후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과정을 가진다고 함
- 르완다에서는 세계은행, 유니세프, 에어텔 등의 기관과 협력하여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있어서 연결성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음. 예를 들어, 교육부 산하 스마트교육사업이 학교 간 연결에 핵심적 역할을 함
- 국가가 급속히 발전하고 기술이 삶의 모든 측면에 통합됨에 따라 학교에서 인터넷에 완벽하게 접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이는 조사 및 연구, 온라인 자료 접근, AI 통합 학습을 포함한 여러 면에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됨
- 학교 연결성에 기여하는 이니셔티브 중 하나는 ‘Starlink’으로, 학교의 모든 학생이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
가상 비서 도입
- 호주의 대학생들은 학습 동기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17년 커틴 대학교 연구에서는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이탈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보여줌
-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가상 비서인 교육 대화형 에이전트(CA)를 개발함. 이 가상 비서는 단순한 채팅봇 이상의 역할을 하며, 수업 내용과 과제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도록 설계되었음
- Meena Jha 박사는 “이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인간적 연결을 제공하며 특히 평가 기간에 자신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했음. 또 이 가상 비서 기술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24시간 접근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없애줄 수 있음을 설명함
교육에서 AI 기술의 필요성
- 기술 발전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음. 일부 학교에서는 AI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지만 남부 퀸즐랜드 대학교의 줄리 린지 박사는 AI 기술의 장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 Lindsay는 “1980년대 계산기 도입 당시 학생들이 과정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지금은 계산기를 통합해 비판적 사고를 키우는 과제를 추가했다”라고 언급하며, 교육 분야가 AI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함
- 끝으로 Lindsay 박사는 대학들이 온라인 학습을 위한 개인 맞춤형 접근 방식을 발전시키는데 AI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대학이 새로운 기술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