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뉴질랜드] 교사들의 경고, AI를 활용한 학생들의 부정행위 증가

  • 2024.09.30
[원문제목]Stud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cheat on assessments, teachers warn
[자료출처]RNZ (2024.09.23.)
[https://www.rnz.co.nz/news/national/528711/students-using-artificial-intelligence-to-cheat-onassessments- teachers-warn]
[주제분류]교육 정책 및 행정, 학교 운영, 교육 재정, 학습 관리 시스템
[키워드]AI 부정행위, AI 오용
[통신원]박혜미

[그림출처: 원문자료]

  • 중등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제 수행 시 AI를 이용해 부정행위를 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일부는 교사가 이를 탐지하기 어렵도록 정교하게 조작하고 있다고 경고함
  • AI의 교육적 잠재력이 매우 큰 반면, 이를 활용한 학생들의 오용 사례가 늘어나면서 현재 많은 학교에서는 에세이와 보고서의 AI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탐지 프로그램을 도용하고 있으나, 모든 부정행위를 차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AI를 사용한 부정행위 탐지의 한계

  • St Patrick’s College의 과학부장 Doug Walke는 학생들의 AI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거의 모든 과제에 AI 탐지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함
  • Walke는 AI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도록 허용할 경우 대부분의 학생이 이를 과제에 활용할 것으로 추정하며, 실제로 AI 사용을 Walke는 AI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도록 허용할 경우 대부분의 학생이 이를 과제에 활용할 것으로 추정하며, 실제로 AI 사용을 금지했음에도 무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자주 확인되고 있다고 전함
  • Walke는 한 학생의 과제에서 ChatGPT에게 작성된 에세이를 17세 학생의 문체로 수정하도록 요청한 문단을 발견했다고 밝힘. 이처럼 문단을 복사해 붙여넣는 것은 일반적인 부정행위의 흔적이지만, 최근 학생들은 정교한 방법으로 탐지에 걸리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음
  • 예를 들어, AI가 작성한 답변을 그대로 붙여넣는 대신 직접 타이핑하여 대량의 텍스트가 일시에 추가된 흔적을 없애는 식임
  • Walke는 학생들이 어려운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AI를 활용하고, 복잡한 내용을 단순한 언어로 설명받기 위해 AI를 사용할 때도 있지만, 과제 수행의 부정행위와 경계가 모호해 교사들이 판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함

[그림출처: 원문자료]

학생들의 AI 부정행위와 그 범위

  • 오클랜드의 영어 교사 Kit Willet은 지난해 초 약 20%의 학생이 AI를 오용한 사실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았다고 전함. 그는 표절과 부정행위는 항상 존재했으나, AI 도구는 접근이 용이하고 사용이 쉬워 많은 양의 콘텐츠를 빠르게 생성해 표절을 훨씬 더 간단하게 만든다고 주장함
  • Onslow College의 부교장 Michael Bangma는 적발된 부정행위는 일부일 뿐이며, 많은 부정행위가 여전히 탐지되지 않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함. 하지만, 일부 학교가 부정행위를 방지하려고 전통적인 필기 시험 방식을 되돌아가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는 대응이라며 AI와 미래 교육 방식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함

AI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 현장의 우려

  • Westlake 여자 고등학교의 과학, 기술 및 수학 코디네이터이자 유네스코 인공지능 국제연구센터의 연구원 Susana Tomaz는 AI의 오용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게 강조되어 AI에 대한 진보적인 대화가 표절 문제에만 국한될 수 있다고 지적함
  • 연구 결과에 따르면 AI는 표절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단지 표절을 수행하는 또 다른 방법일 뿐이라는 입장임
  • 타우랑가의 Maungatapu 초등학교에서 7~8살 학생들을 대상으로 AI가 아이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됨
  • 교사 Chris Dixon은 학생들 스스로 마우이가 불을 훔친 전설을 소재로 글을 쓰고, AI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개선하고 편집한 후, 노래와 그림을 제작하도록 함. Dixon은 학생들의 원래 이야기와 표현이 AI의 개입으로 완전히 변해 본래의 목소리가 사라졌다고 설명함
  • 그 결과에 대해 일부 학생은 결과물이 더 이상 자신의 것이 아니라고 느끼는 반면, 다른 학생들은 부모에게 보여주고 싶어할 정도로 만족함. Dixon은 아이들이 자신의 창의성을 발달시킬 기회를 갖지 못하고 AI가 이를 대체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AI로 인해 아이들이 직접 창작하는 기회가 사라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AI에 대한 교육부의 대응과 국가적 지침 부족

  • 교육부는 교사들에게 AI 사용과 허용 수준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공하고 있지만, Hamilton secondary school의 교사 Benny Pan은 학생과 교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명확한 지침이 부족해 교사들이 부정행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함
  • Pan은 현재 AI 포럼과 협력해 이러한 빈틈을 메우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며, AI가 교육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많은 열정적인 교사들이 이 문제에 동참하고 있다고 덧붙임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