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교육 동향

[호주] 호주, 대학생을 위한 AI 가상 튜터 개발

  • 2024.10.31
[원문제목]AI virtual tutors for tertiary students likened to the leap to calculators in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자료출처]ABC News (2024.09.20.)
[https://www.abc.net.au/news/2024-09-20/ai-chatbots-human-connection-for-remote-tertiarystudents/ 104348408]
[주제분류]고등교육, 온라인 교육, 에듀테크, 인공지능 활용 교육
[키워드]AI 기술, 원격 학습, 가상 비서(CA), 개인 맞춤형 학습

[그림출처: 원문자료]

  • 최근 호주의 외딴 지역 대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AI 기술과 오프라인 학습 공간이 도입되었음. 외딴 지역인 마운트 아이사에 거주하는 Megan Crowther와 같은 학생들은 기존의 온라인 학습에서 고립감을 느꼈으나, 새로운 기술적 지원으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됨
  • 특히 연방 정부가 자금을 지원한 ‘카운트리 유니버시티 센터’는 대학생들을 위한 물리적 학습 공간을 마련하여 학습 성과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개설됨. Crowther는 “조용하고 쾌적한 공간에서 다른 학생들과 함께 공부할 수 있어 학습 효과가 좋아지고 있다”라고 전함

가상 비서 도입

  • 호주의 대학생들은 학습 동기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17년 커틴 대학교 연구에서는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이탈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보여줌
  •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가상 비서인 교육 대화형 에이전트(CA)를 개발함. 이 가상 비서는 단순한 채팅봇 이상의 역할을 하며, 수업 내용과 과제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도록 설계되었음
  • Meena Jha 박사는 “이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인간적 연결을 제공하며 특히 평가 기간에 자신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했음. 또 이 가상 비서 기술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24시간 접근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없애줄 수 있음을 설명함

교육에서 AI 기술의 필요성

  • 기술 발전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음. 일부 학교에서는 AI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지만 남부 퀸즐랜드 대학교의 줄리 린지 박사는 AI 기술의 장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 Lindsay는 “1980년대 계산기 도입 당시 학생들이 과정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지금은 계산기를 통합해 비판적 사고를 키우는 과제를 추가했다”라고 언급하며, 교육 분야가 AI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함
  • 끝으로 Lindsay 박사는 대학들이 온라인 학습을 위한 개인 맞춤형 접근 방식을 발전시키는데 AI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대학이 새로운 기술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함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