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연구 동향

2024 ISTE LIVE 컨퍼런스 디브리핑

  • 2024.09.15
[원문제목]2024 ISTE LIVE 컨퍼런스 디브리핑
[자료출처][https://kefa.or.kr/bbs/board.php?tbl=bbs44&mode=VIEW&num=15&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it_id=&shop_flag=&mobile_flag=&page=1]
[https://iste.org/]
[https://conference.iste.org/2024/]
[키워드]교육 박람회, 에듀테크, 디지털 시민 교육, 네트워크, 교사 전문성 개발(PD), 사회정서학습, K-12 교육

[그림출처: 원문자료]

    • 1979년 미국에서 설립된 국제교육기술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ISTE)는 전 세계 교육자, 관리자, 정책 입안자, 기술 전문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 개발과 학교 리더십 발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원 중심의 글로벌 비영리기구임
    • ISTE의 비전은 모든 학습자가 기술을 통해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혁신적인 교육기술 서적 및 프로그램 제공, 전문성 개발 워크숍, 포럼 및 심포지엄 개최, 국제적 수준의 교육기술에 관한 연구, 평가 및 결과 배포 등의 활동을 수행함

ISTE LIVE

    • ISTE가 주최하는 ISTE LIVE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K-12)의 교육 기술 및 디지털 학습을 중심으로 하는 미국 최대 규모의 에듀테크 박람회이자 국제적인 연례 컨퍼런스임. 교육자, 학교 관리자, 기술 코디네이터, 정책 입안자 등 다양한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최신 기술과 교육 혁신을 탐구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과 네트워킹을 위한 대표적인 교류의 장임
    • 2024년 6월 미국 덴버에서 개최된 2024 ISTE LIVE에는 84개국에서 참가했으며, 우리나라는 42명이 참여해 상위 5위 참가국에 오름. 이번 행사에는 419개 기업이 전시에 참여했고, 1,559개의 세션이 운영되었음

ISTE 컨퍼런스 주요 토픽

    • 2024 ISTE 컨퍼런스는 교육의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 교사지원, 학생역량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e-스포츠와 같은 혁신적인 주제도 주목받았음. 모든 세션은 교사들의 관점과 눈높이에 맞춰 정보를 전달하고, 네트워크 형성과 지식교류를 동시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음. 이번 컨퍼런스는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었으며, 참가자들은 행사 종료 후 6개월간 컨퍼런스 홈페이지에서 관련 자료를 열람할 수 있음
    • 1,500여 개 컨퍼런스 세션 중 상위 10개 주제가 800여 개를 차지했으며, 그중 생성형 AI 관련 세션이 가장 많았음. 교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방안과 이를 통한 학생 역량 개발이 중요함을 시사
      1인공지능 (252개 세션)
      2온라인 도구, 앱 및 리소스 (84)
      3창의성 및 큐레이션 도구 (81)
      4프로젝트 기반 학습, 문제 기반 학습 및 도전 기반 학습 (64)
      5학습 (64)
      6AR/VR/XR (58)
      7컴퓨터 과학 및 컴퓨팅 사고 (57)
      8혁신적인 학습 환경 (56)
      9메이커 활동 및 프로그램 (49)
      10교수 설계 및 전달 (45)

주요 세션 소개

  • 1. 오프닝 메인스테이지
    • 발표자: Richard Culatta, CEO of ASCD and ISTE
    • ISTE와 ASCD가 합병하여 Connect라는 새로운 온라인 커뮤니티를 시작하였음
      • Connect는 광고가 없으며, 모든 교육자에게 무료로 콘텐츠를 제공함
    • ISTE 디지털 시민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발표
      • 디지털 시민 교육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제재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세계에서 좋은 구성원이 되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임
      • K-12 대상 각 학년별 다섯 가지 역량(Balanced, Informed, Inclusive, Engaged, Alert)에 대한 수업으로 구성됨. 디지털 시민 역량과 ISTE 표준에 맞추어져 있음
    •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
      • 평가 지표 개발(Safe, Evidence-based, Inclusive, Usable, Interoperable)
      • 검증 기관의 검증
      • 통일 품질 지표, 신뢰할 수 있는 검증 기관, 검증된 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은 학교 부담을 크게 줄일 것
      • 2024년부터 ISTE는 다섯 가지 품질 지표에 대한 검증을 받은 경우 전시장에서 우선 참여
    • AI in Education
      • 스탠포드 연구에 따르면 고등학생의 70%가 정기적으로 부정행위를 저지르는데 이는 AI 문제가 아니라 문화 문제임
      • 우리는 교육자로서 AI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깊이 이해할 책임이 있음
      • AI 도구를 사용한 것은 창작에 해당 -> 여러 번 프롬프트를 변경하고 조정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시각화한 것
  • 2. 리더의 역량 강화: 학문적 성실성 증진과 AI 중심의 미래에 적응하기
    • 발표자: Alana Winnick, Educational Technology Director, Pocantico Hills CSD
    • AI는 교육 기회의 평등성을 증진시키고 학생들의 창의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
    • AI를 통한 부정행위 우려 관련
      • 표절은 도구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윤리적 행동이며, AI 도입으로 인한 고유한 문제가 아님
      • 중요한 것은 학문적 성실성임
    • AI 규제, 활용 정책
      • AI는 교육적 도구의 하나로서, 전용 정책이 필요하기보다 기존의 학문적 정책 체계 내에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함
    • AI활용 촉진
      • 학생들이 책임감 있게 AI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함. 더불어 AI가 항상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고 잘못된 정보가 많이 있으며, 출처를 확인해야 하는 등의 AI 리터러시에 대해 가르쳐야 함
      • 연방 및 주 규정을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허용해야 함
      • AI 활용의 핵심은 단순 복제가 아닌 창의적 재구성과 새로운 가치 창출에 있음. 표절이 아님
      • AI는 올바르게 사용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임. 교사가 AI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을 정하는 것이 중요함
      • 도서관에서는 AI만큼 다양한 콘텐츠나 지원이 없음. 그만큼 AI는 훌륭한 튜터임
      • AI는 도서관보다 더 다양한 콘텐츠를 지원함. 맞춤형 학습 지원과 다양한 교육 자료 제공이 가능한 효과적인 학습 도우미로 활용될 수 있음
      • 교사 커뮤니티를 통해 협력과 공유 가능
  • 3.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 K-12에서 효과적인 에듀테크 코칭 프로그램 구현
    • 발표자: Paola Trejo, Head of Innovation and Digital Learning, GEMS World Academy Abu Dhabi
    • 교육의 변화
      • 과정: 기술 도입과 탐색 -> 교사 변화 -> 학생 심화학습 -> 학생 성취와 성과의 변화가 일어남
      • 교사들의 디지털 자신감 부족이 기술 활용과 상호작용의 주요 장애물로 작용
      • 2023 ISTE 연구 결과, 신규 교사의 50% 이상이 교실 내 기술 사용 준비 부족
      • 교육 현장에서 기술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됨
    • 교사 전문성 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PD)
      • 교사의 디지털 능력, 역량, 책임감 개발 필요함
      • 교사 커뮤니티를 통해 공동 발전 가능함
      • 교사 코칭 프레임워크 구성: 교사 개별 계획-수업 공동 계획-공동 교육 -피드백과 성찰
      • 단순 PD 교육보다 개별화된 코칭과 경험 기반 교육이 훨씬 효과적
      • 교사들의 코칭 효과 설문 결과, 100% 교사가 코칭 혜택을 인정했고 96%는 높은 영향력 평가, 90%는 기술 사용에 자신감이 향상됐다고 답변함. 특히 학생 참여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함
      • 교사들은 반복적인 수업 패턴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
    • 교사들의 목표 설정 및 실행
      •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 개발 필요성과 구체적 요구사항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
      • 초기 소극적 참여자라 하더라도 아이디어 제안과 성공사례 공유를 통해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이 필요함
      • 저항이 큰 교사들의 경우, 학생의 미래와 성취를 위한 필수 도구임을 이해시키고, 탐색-실험-실행 단계를 통한 단계적 접근으로 저항감을 완화할 필요가 있음
  • 4. 사회정서학습과 인공지능을 통한 교육 형평성 증진
    • 발표자: Alicia Verweij, Education Manager & Edtech Coach, EDGEucating LLC
    • SEL의미: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Skills, Responsible, Decision-Making
      • 연구결과에 따르면, SEL은 아동의 행동과 태도를 개선하고 평균 학점과 표준화 시험 성적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학생들의 장기적 웰빙, 정서적 성장, 공감 능력, 대인관계 기술, 갈등 해결 역량 향상에 기여
      • 현대 사회에서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음
    •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나
      • 또래와의 협력, 놀이, 교류, 소통
      • 학생 눈높이의 지원
      • SuperDville - Video 학습지원
    • AI 통해 어떻게 SEL 지원이 가능한가
      • AI는 개인의 필요에 맞게 수업과 SEL 활동을 맞춤 지원함
      • AI는 학생의 감정 상태를 인식·분석하고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감정 관리를 지원할 수 있음
      • AI는 공감, 갈등 해결 및 협업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안전한 역할극 시나리오를 제공함
      • AI는 학생들의 행동 패턴과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추가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음
  • 5. 교과 간 연계를 통한 컴퓨팅 사고력의 영향
    • 발표자: Ben Smith, Assistant Director of Educational Technology Services, Lincoln Intermediate Unit 12
    • 왜 컴퓨팅 사고력이 해결책인가
      • 코딩, 컴퓨터 과학, 컴퓨팅 사고력의 차이: 코딩은 프로그램이나 일련의 지시를 작성, 컴퓨터공학은 이 모든 요소를 포괄하는 학문, 컴퓨팅 사고력은 문제 해결 전략의 집합
        • 컴퓨터공학은 포괄적 학문으로, 컴퓨팅 사고력과 코딩은 그 일부임
        • 컴퓨팅 사고력은 전 교과 학습과 일상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보편적 역량임
        • 컴퓨팅 사고력은 체계적인 문제해결 능력이며, 어휘력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함
      • 네 가지 문제 해결 전략: 분해(Decomposition),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추상화(Abstraction), 알고리즘적 사고(Algorithmic Thinking)
        • 분해: 큰 그림을 작은 그림으로 나누고 세분화하는 것.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해결하고, 결과를 통합하여 원래의 큰 문제 해결
        • 패턴인식: 패턴(데이터)을 보고(인식하고) 예측
        • 추상화: 중요하지 않은 것을 제거하고 중요한 것에 집중. 복잡한 현상이나 문제를 단순화, 핵심 개념에 집중
        •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단계적 절차를 체계화하고, 이를 재현 가능한 형태로 구조화하는 사고 과정
    • 모든 학생이 컴퓨터 공학자가 될 필요는 없으며, 현대 사회의 직업은 더욱 세분화되고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학생들의 미래를 준비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컴퓨팅 사고력은 필수적이며, 이를 측정하고 개발하는 도구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
  • 6. Tuesday Mainstage
    • 발표자: Ethan Mollick, Innovation Expert and AI Thought Leader; Professor, The Wharton School
    • AI가 튜터로서 가지는 경쟁력
      • AI는 방대한 지식 기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 전달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한된 상호작용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게 선호될 수 있는 학습 도구임
    • AI의 도입
      • AI 교육은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실제 활용을 통해서만 그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할 수 있음. 합법적이고 윤리적으로 활용을 시작해야 함
      • AI의 특징을 이해하고, 완전하게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배워야함
      • 현재의 AI는 초기 단계 수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1~2년 동안 자연스러운 대화, 비디오 분석, 첨삭 튜터링 등의 영역에서 더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됨
      • 교사들은 AI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AI를 통한 교육 혁신과 학생 지원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판단과 결정이 필요한 시점임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