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연구 동향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고등교육 기관 교사의 디지털 역량
- 2024.08.31
[원문제목] |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in higher education in Portugal and Spain |
---|---|
[자료출처] | Dias-Trindade, S., Moreira, J. A., García Huertas, J. G., Garrido Pintado, P., & Mas Miguel, A. (2023).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in higher education in Portugal and Spain.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ology, 15(4), ep463. |
[원문링크] | https://doi.org/10.30935/cedtech/13604 |
[키워드] | 디지털 기술, 디지털 역량, 고등 교육, 교사 교육 |
[그림출처: 원문자료]
Sara Dias-Trindade (2023)
- 디지털 교육 생태계에서 교사와 학교는 높은 수준의 역량과 혁신이 필요하며, 모든 교육 주체가 디지털 역량에 대한 훈련을 받아야 함. 고등교육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개발은 학생의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수적임
- 고등교육 기관의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수준과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여 교수법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을 증진하는지 이해하고자 함. 나아가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현재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음
- 더 이상 교육 분야에서 기술 사용의 여부가 주된 관심사가 아님. 오늘날의 과제는 기술을 교육적으로 사용하여 ‘학습을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하며 학습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을 아는 것임
-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사용은 교사가 교육 과정에서 어떤 입장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고등교육은 미래의 전문가들이 사회로 나가기 전 준비하는 곳으로 교사가 디지털 역량을 보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함
- Oberosler et al. (2021)은 디지털 기술의 큰 잠재력은 실제로 교육적 초점을 학습자에게 전환하고, 교육적 개인화의 기회를 창출하고, 협력적이고 자기 조절적인 학습의 형태를 용이하게 하는 능력에서 확인된다고 언급함
-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포르투갈 교사 249명, 스페인 교사 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함. 설문지는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을 교사의 전문적 역량, 교사의 교육적 역량, 학생의 역량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질문함
연구 결과
- 두 기관의 교사는 전반적으로 중간 수준의 디지털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포르투갈어 교사와 스페인 교사 간에 발생하는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교육에 투자하여 디지털 역량을 증진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함
- 교육 경험 및 연령과 관련된 결과에 따르면 두 요인이나 디지털 역량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이 없음
- 성별에 따르면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나은 성과를 보임
- 교사는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준비된 특정 교육을 통해 디지털 역량 수준을 높여야 하며, 교사를 보다 디지털 교육에 준비시키는 공공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
- 연구의 결과는 각 기관의 교사들의 특징에 따라 교육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함
- 교육 프로그램 자체는 구조화된 관행에서 변화되어 설계되어야 함. 이는 교사가 자신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함으로써 가능함
- 교사 대상 교육 활동은 역량 및 수준별로 구성해야 함. 교사가 자신의 인식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