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연구 동향

디지털 튜터 정책 운영을 위한 핵심역량 도출
- 2024.11.15
[원문제목] | 디지털 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용 AI 역량 측정 도구 개발 |
---|---|
[자료출처] | 김성애, 김성원, 박찬솔, 홍지연, & 박정호. (2023). 디지털 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용 AI 역량 측정 도구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6(4), 21-32. |
[원문링크]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6209] |
[키워드] | 디지털 교육, 전문성, AI 역량 측정 도구, 예비교사 교육, 디지털 교육, 인공지능 교육 |
-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의 도래는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온・오프라인 수업의 확대와 다양한 학습 형태로의 시도가 이루어짐.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는 교육격차의 심화, 디지털 교육격차 등 중대한 사회문제를 야기함
- 이에 교육부는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통해 소외됨 없는 두터운 디지털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농어촌 등 교육소외지역 초등학교에 디지털 튜터 배치 사업을 시작함
- 디지털 튜터란 디지털 기반 수업에서 개인 디지털 역량 차이에 따라 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별화된 디지털 학습 지원을 제공하는 수업 보조강사를 의미함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튜터와 관련된 문헌 분석과 디지털 튜터 사업 관련 전문가 심층 면담을 통해 디지털 튜터 정책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 디지털 튜터가 수행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해당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갖춰야 할 디지털 역량이 무엇인지 알아봄
이론적 배경
- 디지털 역량 및 디지털 교육역량
- Ferrari(2013)는 디지털 역량을 정보통신기술(ICT)과 디지털 도구(digitalmedia)를 이용할 때 요구되는 일련의 지식, 능력, 태도, 기술, 전략과 의식으로 정의하고, 이때, 정보통신기술과 디지털 도구는 과제수행, 문제해결, 의사소통전달, 정보처리, 협력, 콘텐츠의 생산과 공유, 효과적인 지식 생산, 참여, 학습, 사회화 등에 사용된다고 함
- 한국교원교육학회(2022)에서 발표한 예비・현직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정립 보고서에는 예비・현직 교원의 직무 영역별 AI・디지털 역량이 제시되어 있음
- 국내외 디지털 튜터 운영 사례 분석
- 핀란드의 국가교육위원회(The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FNBE)는 빠른 사회 변화에 따른 학교 문화에 대한 다른 교원들의 이해를 돕고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시행하며 디지털 영역에 있어 조력자의 역할을 하도록 약 2,500개 종합 학교에 튜터를 배치함
- 미국은 주별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보조교사 운영 정책을 두고 있으며, 대체로 테크놀로지 보조교사의 역량으로서 디지털 인프라 관리 역량을 강조하고 있음
- 국내의 경우, 디지털 튜터와 유사한 사업으로서 6차 교육과정의 컴퓨터 보조 교사 제도가 있으며, 이는 약 10년간 운영되다가 폐지됨
연구 방법 및 절차
- 본 연구는 디지털 튜터 제도의 성공적인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디지털 튜터의 역할에 따른 핵심역량 도출을 목표로 하므로, 문헌분석을 통해 연구진(디지털 튜터 사업 참여 현장교사 2인, 컴퓨터교육 전문가 3인)이 시사점을 도출하여 예비 역량 항목을 구성함
- 구성된 예비 항목에 대하여 심층 면담을 통해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함.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심층 면담은 연구 참여자의 풍부한 경험이 이론에 그대로 반영되므로 대상자 표집이 매우 중요함
- 따라서 디지털 튜터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현직교사, 디지털 튜터 사업 운영 학교의 관리자, 디지털 튜터 사업 운영에 대한 자문과 연구를 하고 있는 교수진 등으로 총 11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
- 이론 탐색을 통한 시사점 추출, 디지털 튜터 역량 초안 도출, 전문가 그룹의 심층 면담 순으로 최종 디지털 튜터의 핵심 디지털 역량을 도출함
연구 결과
- 최종적으로 도출된 디지털 튜터 역할에 따른 최종 역량은 다음과 같음
- 수업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관리: 시설관리, 교구제 HW관리, 교구재 SW관리
- 디지털 교수학습 지원: 교사 지원(수업의 준비 및 정리 지원, 수업 설계 지원, 수업 운영 지원, 평가 지원), 학생 지원(매체 활용 활동 지원, 기술 지원, 기초활용 능력지도)
- 튜터 기본 태도: 협력 및 소통 기술, 기술 수용 태도,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태도
- 제시된 디지털 튜터의 역량은 디지털 튜터가 반드시 갖춰야 하는 자격이기보다는 디지털 튜터와 디지털 튜터를 고용하고자 하는 학교에서 참고하여 디지털 튜터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돕는 데 있음
- 현재 디지털 튜터는 시간제 근무를 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역할이 주어지거나 과중한 업무를 제시할 경우,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운영 정책에 대한 수정 보완 연구가 필요함
- 디지털 튜터가 교사와 협력했을 때, 학생들의 디지털 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