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연구 동향

인도 에듀테크 주요 트렌드
- 2024.09.30
[원문제목] | 인도 에듀테크 주요 트렌드 |
---|---|
[자료출처]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19750 https://www.globalict.kr/news/trend/weekly.do?menuCode=010200&knwldNo=144356#none |
[키워드] | 인도, 에듀테크, 디지털 학습 지원, 맞춤형 학습, 생성형 AI, 하이브리드 교육, 대입, 교육격차, 교육정책, 교육 접근성 |
- 인도는 14억 이상의 인구를 가진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이며, 교육이 더 좋은 직업과 높은 사회적 지위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짐. 이로 인해 인도인들의 교육에 대한 열망이 상당히 높으며, IIT(Indian Institutes of Technology)와 IIM(Indian Institutes of Management) 같은 세계 최상위권 대학도 잘 알려져 있음. 세계 최대 교육 시장 중 하나인 인도의 교육 산업은 2019년 약 1,170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었으며, 2024년에는 약 2,25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인도는 150만 개 이상의 학교와 3만 9,000개 이상의 대학을 보유해 양적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1,000만 명 이상의 교사가 2억 6,000만 명 이상의 학생을 지도하고 있음
인도의 교육 및 디지털 친화 정책
- 인도는 기본적으로 10+2 체제의 정규 교육을 지원하고 있음. 10학년까지는 초등, 중등, 고등 과정을 이수하고, 이후 10학년 시험을 통해 Pre-College 또는 Higher Secondary 과정으로 진학하여 12학년까지 교육을 받은 후 대학 진학 자격을 얻게 됨. 대학 입학을 위해 JEE나 NEET 등의 대입 시험을 치러야 하며, 이 시험들은 세계적으로도 난이도가 높기로 악명이 높음. 이러한 이유로 인도에서는 대입 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입시 산업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음. 실제로 대부분의 인도 에듀테크 기업은 대입 시험 준비 프로그램을 주요 비즈니스 모델로 하고 있으며, 이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1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
인도 에듀테크 시장 규모 (단위: 십억 달러) [그림출처: Grandviewresearch]
- 이외에도 인도에는 취업을 목적으로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직업학교가 있으며, 정부는 이를 통해 2025년까지 4억 명의 인력을 양성하려는 계획을 실행 중임. 높은 실업률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산업 인력의 양성이 필수적이며, 특히 Make in India 정책을 성공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도 직업 교육 분야의 성장이 중요한 역할을 함
- 인도는 도시-농촌 간 교육 격차가 크고, 엘리트 육성에 집중된 교육 구조로 인해 상위권 학생과 공립학교, 농촌 지역 학생 간의 학습 능력 격차가 큼. 중등교육에서의 학업 중단 비율도 높아 2021년 기준 초등학교 재학 유지율이 80.9%인 반면, 고등학교 재학률은 42.8%까지 감소함(출처: UDISE+). 따라서,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학습자 수준별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에듀테크 서비스가 유망할 것으로 보임. 특히, 대형 언어 모델(LLM) 기반의 생성형 AI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맞춤형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영상 및 이미지 학습 자료를 생성할 수 있어 인도 에듀테크 시장에서의 가능성이 큼
- 인도 정부는 국가교육정책(National Education Policy, NEP)을 통해 디지털 학습을 지원하며 교육 체계 전환에 주력하고 있음. 특히, 교육의 질 향상과 교육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온라인 및 하이브리드 학습 방식을 장려 중임. 또한 국가디지털교육구상(National Digital Education Architecture, NDEAR)을 수립해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교육과정 내 기술 활용을 촉진하고 있음. 이러한 디지털 학습 친화 정책은 인도 에듀테크 시장의 성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이 혁신을 추진하고 제품을 확장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됨
인도 주요 에듀테크 트렌드
- 최근 인도 교육 시장의 몇 가지 트렌드는 다음과 같음
주요 트렌드 | 주요 고객층 |
---|---|
정규 교육과정 보강 온라인 학습 플랫폼 | K-12 Segment(유치원-고등학교) |
STEM(Science, Tech, Engineering, Math) | 고등학생, 대학생 |
AI 기반, 학생 맞춤형, 적응형 학습 솔루 | 전 분야 |
기업 직원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시장 | 중견기업 이상 |
[자료: Invest India]
-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인도의 온라인 교육은 급성장했으며, BYJU, Unacademy, Vedantu 등 에듀테크 스타트업들이 인도 온라인 교육 시장을 주도하며 사업을 크게 확장하고 있음. 인도의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약 1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또한, upGrad와 같은 기업들은 고등학교 및 대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최신 산업 기술 교육과 수료증 제공을 결합한 사업 모델을 운영 중임. BYJU를 비롯한 여러 온라인 프로그램에서는 AI를 활용해 학생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질의응답 대응과 개별 수준에 맞춘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이고 있음
[그림출처: 원문자료]
- 최근 에듀테크 스타트업 피직스왈라(PhysicsWallah)는 저소득층을 위한 저렴한 교육에 집중하면서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음. 이는 인도 에듀테크 시장의 지속적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됨. 피직스왈라의 성공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있었음
- 저소득층 교육 접근성 개선: 2016년 유튜브 채널로 시작해 현재는 영어, 힌디어, 벵골어 등 5개 언어로 4,600만 명의 학생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평균 50달러 이하의 비용으로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
- 하이브리드 교육 모델 및 AI 활용: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교육 모델을 채택해 약 180개의 오프라인 교육 센터를 운영, 특히 인터넷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학생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음. 또한 자체 개발한 AI Guru 앱을 통해 학생 질문 해결 및 개별 학습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 인수합병을 통한 확장: 피직스왈라는 지난 3년간 총 10개 에듀테크 기업을 인수하여 신규 콘텐츠 개발 및 지역 확장에 힘쓰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층을 확대하고 있음
인도의 교육과 에듀테크의 과제
-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의 교육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음
- 첫 번째로 농촌, 빈민 지역의 교육의 질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으며 많은 학생들의 기초 교육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함. 정부는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인프라를 갖추고 좋은 교사를 고용하는 것도 쉽지 않은 한계가 존재함
- 두 번째는 경쟁과 교육열의 지속적인 심화로 인한 높은 비용임. 정부는 인도의 여러 주에서 표준 교육비를 권장하지만 여전히 많은 주에서 학생들은 높은 교육비로 힘들어함. 한 예로 사립 의과 대학의 높은 교육비로 인해 학생들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유럽 등으로 유학을 가는 사례도 매우 많음. 또한 정부 대학의 의대 정원은 매년 차이가 있고 또한 공대에 비해 매우 적음
-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의 마케팅 부교수 로케시 진달 박사에 따르면, "정부는 정부 소유 대학을 국민을 위해 더 많이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와 동시에, 학생들이 외국과 같은 고등 교육에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학교와 같은 정규 교육 기관 외에 에듀테크 기업을 적극 활용 검토해야 하며, 이러한 실용적인 교육은 학생들에게 매우 필요하다"고 언급함
- 인도 에듀테크의 경우, 온/오프라인 학습 간 균형 유지, 접근성과 경제성 문제 해결, 교육의 질 보장 등의 과제를 안고 있음. 또한 에듀테크 기업들은 고객의 변화하는 요구에 맞춘 혁신적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